아래 내용을 샘플로 본인에 맞는 cidr 및 version install
sudo kubeadm init --pod-network-cidr=10.85.0.0/16 --kubernetes-version 1.28.0
sudo kubeadm init --pod-network-cidr=192.168.0.0/16 --kubernetes-version 1.28.0 --node-name master-node
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출력 된다
아래 내용중 kubeadm join 부분을 꼭 저장해 두자
-> 추후 노드 추가할때 해당 부분이 필요
10. kube 명령어 설정 및 kube 설정 확인
아래와 같이 coredns 가 pending 인 상태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해당 부분은 cni 를 설치하고 나면 정상적으로 running 상태로 변경된다
coredns 가 running이 되면 node 가 ready 상태로 변경 된다
mkdir -p $HOME/.kube
sudo cp -i /etc/kubernetes/admin.conf $HOME/.kube/config
sudo chown $(id -u):$(id -g) $HOME/.kube/config
alias k=kubectl
k get no
k get po -A
11. calico cni 설치
kubectl create -f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projectcalico/calico/v3.26.1/manifests/tigera-operator.yaml
wget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projectcalico/calico/v3.26.1/manifests/custom-resources.yaml
위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vi 로 아래 사진과 같이 13번째줄의 cidr 을 수정 해야함
kubeadm init 시 pod cidr 를 192.168.0.0/16 로 지정 했으면 수정없이 배포하면 됨
k apply -f custom-resources.yaml
12. node 및 pod 확인
시간이 지나면 아래와 같이 pod 와 node 가 running 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
master node 에서 실행
yum install -y kubeadm-1.26.x-0 --disableexcludes=kubernetes
다운로드 결과 조회
kubeadm version
업그레이드 계획 확인
sudo kubeadm upgrade plan v.1.2x.x
2. kubeadm upgrade
sudo kubeadm upgrade apply v1.2x.x
결과 확인
[upgrade/successful] SUCCESS! Your cluster was upgraded to "v1.26.x". Enjoy!
[upgrade/kubelet] Now that your control plane is upgraded, please proceed with upgrading your kubelets if you haven't already done so.